2024/05/10 2

패션히스토리-니트의 조직과 특성

목차1. 니트디자인에 쓰이는 용어2. 니트 편직의 종류3. 자카드 조직의 종류와 특징 1. 니트디자인에 쓰이는 용어1. 헤라시 바늘을 떠넘겨주어 코를 줄일때 사용합니다. 특히 암홀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헤라시를 사용하면 넓게짜서 재단해서 사용하지 않고제끝으로 깔끔하게 시접없이 마무리가 됩니다. 곡선표현을 할 수 없고 직선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오베라시헤라시를 쳐서 구멍을 하나만 뚫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시야게다림질의 일본말로 아직도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입니다.  4. 게이지(gauge) 니트를 뜨기전에 몇게이지로 할 지 먼저 정합니다. 로우게이지는 두껍게 편직되는 것을 말하며3gg, 5gg, 7gg 가 있습니다. 반대는 하이게이지인데 얇게 편직되는것을 말하며16gg, 14gg ..

카테고리 없음 2024.05.10

패션히스토리- 프렌치시크 브랜드 산드로(SANDRO) , 랭글러와 콜라보레이션

목차1. 산드로(SANDRO) 브랜드 소개2. 산드로 브랜드의 콘셉트와 특징3. 산드로 니트의 특징4. 산드로와 랭글러의 콜라보레이션5. 산드로와 루이 바르텔레미의 컬래버레이션 안녕하세요~저는 특히 프렌치시크가 매력적이에요뭔가 정장스타일의 딱딱함과는 다르다고 느껴져요우리나라는 급성장하고 남에게 보여주는 예를 중시하는 반면,파리에 가면 '몸에서 배어 나온다'는 것이 느껴졌어요.같은 트렌치코트를 입어도실루엣이 다르다고 느껴져서 처음엔 키 때문인가 했는데유럽사람들이 생각보다 키가 그렇게 크지 않더라고요. 처음 파리에 갔을 때 그런 것을 느꼈어요현재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패션완성도도 뛰어나다고 느낍니다.그런 추억으로 프렌치 시크를 테마로 이자벨마랑, 마쥬, 산드로까지 정리해 봤어요.오늘은 브랜드 산드로에 관해 정..

카테고리 없음 2024.05.10